큰 수의 법칙
'큰 수의 법칙'은 일반적으로 통계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지만 동빈이는 본인만의 방식으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. 동빈이의 큰 수의 법칙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법칙이다. 단,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(번호)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을 초과하여 더해질 수 없는 것이 이 법칙의 특징이다.
예를 들어 순서대로 2,4,5,4,6 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8이고, K가 3이라고 가장하자. 이 경우 특정한 인덱스의 수가 연속해서 세 번까지만 더해질 수 있으므로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는 6+6+6+5+6+6+6+5인 46이 된다.
단, 서로 다른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같은 경우에도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. 예를 들어 순서대로 3,4,3,4,3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때 M이 7이고, K가 2라고 가정하자. 이 경우 두 번째 원소에 해당하는 4와 네 번째 원소에 해당하는 4를 번갈아 두 번씩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. 결과적으로 4+4+4+4+4+4+4인 28이 도출된다.
배열 크기 N, 숫자가 더해지는 횟수 M, 그리고 K가 주어질 때 동빈이의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시오
구현 알고리즘
입력, 출력값
배열을 역순으로 큰수 -> 작은 수 순서대로 정리하고, 가장 큰 수를 k번 더해주고, 그다음 큰수를 한번 더해주고 이러한 식으로 반복해서 가장 큰 수를 찾는다.
위와 같은 방식은 M의 크기가 10,000 이하일 때만 가능하고, M의크기가 100억 이상처럼 커지면, 시간초과 판정을 받는다. 좀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보자

big_count -> 가장 큰 수가 더해지는 횟수
first -> 배열중에 가장 큰수
second -> 배열중에 두번째로 큰수
입력, 출력값
'2022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리디 알고리즘<문제1> (0) | 2021.12.14 |
---|---|
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 (0) | 2021.12.13 |
추가 기능 구현(1) (0) | 2021.12.13 |
Redirect, useHistory 무엇을 쓸까? (0) | 2021.12.13 |
useSWR에 사용되는 fetcher 오류 (0) | 2021.12.13 |